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미국 비자 종류

by 좋은 지기 2023. 11. 8.

한국 이외의 다른 나라에 방문 또는 거주하려면 해당 국가의 비자를 신청해야 하는데요, 오늘은 미국의 비자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미국 비자는 크게 이민 비자와 비이민 비자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민 비자는 영주권을 취득하여 미국에서 영구히 거주가 가능한 비자이고 비이민 비자는 일정 기간 동안 미국에 체류하고자 하는 이들을 위한 것입니다.

 

비자

 

이민 비자와 비이민 비자는 각 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가 있지만 대표적인 것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민 비자 비이민 비자
초청 비자(IR-1, IR-2, IR-3, IR-4, IR-5) 외교/정부 공무원 비자(A-1)
영주권자의 자녀 초청 비자(F-1, F-2A, F-2B) 사업 방문/관광 비자(B-1, B-2)
취업 이민 비자(EB-1A, EB-1B, EB-1C, EB-2, EB-3) 무역인/투자자 비자(E-1, E-2)
종교 이민 비자(EB-4) 학생/학생 동반 비자(F-1, F-2)
투자 이민 비자(EB-5) 단기 취업(전문직) 비자(H-1B)
  해외 근무 간호사(H-1C)
  인턴/교수/훈련 비자 (J-1)
  사내 전근/주재원 비자(L-1)
  기타 (J, K, M, O, P, Q, R, ...)

 

같은 카테고리 안에서도 특정 구분에 따라 -1이나 -2와 같이 숫자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각 비자 별 자세한 사항 및 신청 방법과 구비 서류는 https://kr.usembassy.gov/ko/visas-ko/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 밖에도 ESTA라는 것이 있지만 ESTA는 비자의 종류는 아니고 비자 발급 없이 관광 혹은 단기 출장 목적으로 최대 90일까지 체류할 수 있는 비자면제 프로그램입니다. ESTA는 출국 72시간 이전에 https://esta.cbp.dhs.gov/신청 및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저의 경우에는 한국 지사에서 일하다가 미국 본사에 자리가 생겨 인터뷰를 보고 옮겨 온 경우입니다. 이때 회사에서 H-1B 비자로 수속을 도와주었고 미국 도착 후 법무팀에서 영주권까지 취득할 수 있도록 진행해 주었습니다.

 

하지만 몇 년 되지 않아 영주권이 나오기도 전에 회사에서 큰 조직 개편이 있어 정리 해고 대상이 되었고 빨리 다른 회사를 찾지 않으면 한국으로 돌아와야 할 수도 있는 어이없는 상황에 처하기도 했었습니다. 다행히 그런 상황까지는 안 가고 아직까지 미국에서 일을 하고는 있습니다.

 

다음에 기회가 되면 아찔했던 그때의 썰을 풀어보고도 싶네요.